선교학

[스크랩] 선교의 개념어원적 의미

수호천사1 2016. 6. 15. 00:07

 

선교의 개념어원적 의미

 


*Mission: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인류를 자신과 화해시키시려는 하나님의 일(the work of God)
 *Missions: 하나님의 선교를 이루기 위한 헌신자들의 사역.
하나님 선교의 실천적 수행(the practical implementation)


*mission의 일반적 의미: 사절단, 파견단이라는 뜻
Lt) missionem(sending, delegation) <missus (sent)< mittere(send)
 Gk) apostole<apostolos<apostelo –임무와 관련  


    • 파송과 선포(kerygma) : 말씀의 파송은 하나님 선교의 원형(창1:3, 요1:14)
    • 선포의 내용: euangelion(기쁜소식)
    • 선교적 선포: 그리스도에 의해서 부르심을 받아 그리스도 자신의 예언자적 직무에 참여함을 통해 발생
   • 선교사는 그를 보내신 주님이 목소리(눅10:16, 요13:20)


선교의 드라마
   • 역사: 창1-2장과 계21-22장을 제외한 그 사이의 긴장된 인간의 역사(창3-계20)-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간섭하심, 구원의 준비와 성취
   • 인간의 실존 상황: 특별하게 창조됨(지.정.의를 지닌 인격적 존재로서 하나님 형상보유)- 죄의 유입
                   으로 인한 비참한 인간 실존(창3장)-하나님의 형상 상실, 죄의 노예-회복과 해방의 갈망 
 
1.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창3:15).  2. 종교들의 발생

   • 선교는 보내시고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본성에 근거한다.
    • 선교의 동기: 사랑
   •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하나님의 일(the work of God)
    • 창3:15의 원 복음(proto-evangelism)을 성취하시기 위한 하나님의 일.


열방을 향한 비전
   • “모든 민족”(창12:1-3): 다수 속에서 소수 선택-다수의 축복을 위해 universality-아브라함의 부르심
   • “세계가 다 내게 속했다(출19:5)”: 하나님과 이스라엘과 상화 합의에 의한 계약. 세계 구원 역사에서
      하나님의 동역자로서 이스라엘(3절-8절)
    • 구약에서 이스라엘 선택은 열방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약속과 관련. 선택-봉사.책임
   • 구원사에서 선택이라는 특수 방법을 사용하셨지만, 전세계를 구원하시려는 약속, 계획, 그리고 효과는
     보편적
   • 구원의 보편주의에 실패한 예-요나

 

세계열방을 위한 기도
(왕상8:41-43)
성전을 통해 열방이 하나님께 돌아오기를 기원. 이 성전은 이스라엘 백성만을 위한 종교적 건물이 아니라, 온 세계 열방이 하나님을 알게 되는 거룩한 곳이 되고 이스라엘은 그 일에 대한 사명과 책임이 있다는 것. ‘거룩한 백성과 제사장 나라’로서의 사명과 특권을 가지고 열방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는 것. 이스라엘은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복을 받는 표본이자 그 복을 열방으로 전달하는 복의 통로가 된다는

 

선교의 근원(The Source of Mission): 하나님
   • 창조-타락-구원계획(창3:15): 하나님의 선교. 타락한 인간과의 화해 주도-창3:9  “네가 어디 있느냐?”
     질문- 하나님의 사랑의 본성
   • 그 본성 계시-요3:16: “하나님이 이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는…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구약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의 예증
   • 출애굽: 이집트에서 그 백성을 구출하신 하나님의 행위-하나님의 선교 정의 particularity,
      선교 주체자:부르짖음 “들으시고”, 그들의 참상을 “보시고, “ 기사와 이적을 통해 그들을 “이끌어 내심”
     구출 사건: 하나님의 영원한 사랑에 근거(출34:6-7) –선교의 동기
      하나님 선교 수행자: 모세
     모세의 선교사역 위임 사건(출3:10-)
      모세의 두려움: 선교가 자신의 일이 아니라 하나님의 일이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거부.
       모세-“내가”에 초점, 자기중심적 사고. 하나님의 선교를 자기의 선교로 착각하는 인간의 성향을 표출
      약속: “내가 너와 함께 하겠다”-선교와 선교 위탁자가 더 크다는 것을 상기시킴, “I AM WHO I AM”
            -하나님의 현존성
     기적: 선교의 근원자이신 하나님은 선교사가 선교를 완수하도록 능력 부여하심-선교사는 선교적 도구
     하나님이 선교의 근원자라는 사실의 표현: 출19:4, 선교의 주체
      신약에 나타난 선교의 예증: 예수 그리스도
   • 선교는 신약성경의 핵심적 주제: 하나님의 위대한 사랑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
사랑과 구원-요3:16, 딛3:4-5, 롬5:8, 요일4:10: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화해의 선교를 주도하시는 하나님
 하나님의 선교는 하나님의 마음에서 시작, 그리스도에게서 절정-하나님 나라 메시지  선포와 계획의 실현-선교 위임 받은 교회는 성령의 능력으로 일을 수행

 

파송의 패러다임(요17:18)
“하나님의 선교”의 적용
   • 선교가 하나님의 본질로부터 나온 것이라면, 교회는 선교를 무시하거나 중단할 수 없다.
    • 선교는 하나님의 일이기 때문에, 하나님은 그 일을 맡은 자를 준비시키신다.
    •  “하나님의 선교” 개념은 선교사들이 하나님의 주권 하에 있음을 인식시켜준다(요7:18)
    • “하나님의 선교”개념은 희생, 즉 하나님을 위해 살기도하고 죽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선교는 하나님의 일이기 때문에, 선교사가 실패할지라도 죄인을 자신과 화해시키시려는 선교는
     계속 된다.(고후5:18-20)

 

선교의 메시지(The Message of Mission): 그리스도
   • 예수 그리스도의 선포 메시지,하나님 나라
“하나님 나라”(막1:15): 현재적, 미래적,
예수그리스도의 오심: 역사의 분기점
 예수 안에 하나님의 통치 시작,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
 님 왕국.
하나님 “왕국” 의 성격(시145:11-13): 권능, 주권, 통치
 하나님의 통치에 도전하도록 사탄의 인류 유혹(창3:1-5)-
죄-사망이 지배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 하나님의 통치 시작-말과 행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 나라
   • “하나님 왕국의 복음”선포(눅4:43)
    • 하나님 왕국과 사탄 왕국의 공존-종말까지(이미already, 아직not yet)
    • 예수 그리스도의 축사, 치유-사탄 패배에 대한 표식
   • 왕국의 개념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사탄의 권세를 멸하시고 이 세상을 하나님의 통치영역으로 회복됨을
      의미 
선교의 메시지가 되심
   • 그리스도인의 근본 메시지: 예수 그리스도(행8:5, 35, 11:20, 17:18)-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
                                         사역(행2:14-39, 17:2-3)
    • “그리스도에 대한 메시지”-”하나님 나라에 대한 메시지”와 병행(행8:12, 20:25)
                                        -그리스도인 신앙은 하나님 나라 토대 위에 세워짐
   • 복음 : 예수의 죽음과 부활-인간의 구원을 위해
   • 선교사의 예수 선포 선행작업: 창조하시고 이끄시고 행하시는 하나님 이해를 전제-예수님을 보내신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과 그의 일을 이해
선교의 근본 메시지를 탈취하는 메세지들
   • 주변적 이슈가 선교의 본질적 메시지를 대체하는 경우들: 안식일 준수, 교회, 성령, 침례
    • 메시지의 본질과 주변적인 이슈의 혼돈 초래 주의 필요

선교의 원동력(The Power of Mission): 성령

 

 

선교의 구현체(The Embodiment of Mission): 교회

 


선교의 대상(Target of Mission): 세상

 


선교의 동기들:선교 동참의 이유들

 

출처 : 은혜동산 JESUS - KOREA
글쓴이 : 임마.누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