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중심으로 생각하고 생활하는 것의 중요성
이승구 교수
|개혁신학과 관련된 글들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것이 하나님 중심, 성경 중심, 그리고 교회 중심이라는 표어이다. 이 세 가지는 매우 중요한 것을 간명하게 잘 간추려서 강조하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개혁신학을 간추리고 또 간추리면 아마 이런 말들로 요약될 수 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그러나 이런 축약에는 늘 제한성이 있다는 것을 우리는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 중에서 요즈음 많이 생각하게 되는 것이 "과연 우리들의 삶이 교회 중심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전에 필자가 어릴 때는 우리들 사이에서 이 말이 예배당 중심, 또는 좁은 의미의 종교 생활 중심으로 이해된 때가 있었다. 그 때 이런 좁은 의미의 정식화에 반발하는 것이 일반화 되다가 언젠가부터 우리들 사이에 참으로 교회 중심적인 삶이 사라지는 것을 목격하면서 안타까움을 많이 느끼게 된다. 신약 성경이 말하는 참으로 교회 중심적인 삶이란 하나님 나라를 증시하는 교회의 사명에 충실한 교회의 지체 의식을 가지고 사는 삶이다. 그러나 그런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점점 적어져 가는 모습이 우리를 아쉽게 한다.
이런 교회의 교회된 사명을 잘 감당하게 하려면 교회를 통해 풍성한 말씀의 가르침을 받는 일을 제일의 우선적인 과제로 삼는 것이 개혁 교회의 특성이었다. 성령께서 말씀을 사용하셔서 은혜 베푸시는 것을 가장 강조해 온 것이다. 이런 은혜받음 없이 우리는 한 순간도 제대로 살아 갈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도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의 말씀의 가르침의 침잠하고, 하나님을 찬양하며, 하나님께 기도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일로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가운데서 이렇게 말씀의 가르침을 받은 자답게 하나님 나라의 원칙에 서서 바르게 판단하며 주어진 상황 속에서 성령님께 의존하여 최선의 노력을 하여 나가는 것이 참으로 교회를 이 세상에 현존하게 하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교회는 우리의 일상생활이 하나님 나라의 백성답게 진행되어져 가는 그곳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한국 교회는 이런 점이 매우 부족했었고, 지금도 이점에 있어서 별로 유력한 모습을 나타내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리고는 같은 지체된 형제자매들을 돌아보는데서 교회의 교회됨이 나타난다. 이 일은 일차적으로 교회의 회집 가운데서, 그리고 각 가정에서의 자연스러운 교제 가운데서 나타나야 할 것이다. 우리는 함께 성장해 가야 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서로를 돌아보고 같이 사귀어 나가는 일은 우리의 큰 과제이며, 이는 또한 우리의 기쁨이기도 하다. 우리는 서로의 교제를 통해 위로와 기쁨을 나누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같은 교회에 참석하지 아니하는 이웃 그리스도인들과의 교제와 협력도 교회 중심의 삶의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나타난다. 이 점이 배제될 때 우리는 개교회 주의나 심지어 배타주의적 문제점(도나티스트적 오류)에 빠지기 쉬운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역사적 기독교회의 가르침에 유의하면서 항상 같은 하나님을 섬겨 나가는 바른 교회들과의 유대를 존중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우리의 복음에 합당한 삶에 근거해서 교회 밖에 있는 이들을 그리스도의 우리 안으로 이끌어 들이는 매우 창조적인 사역이 교회 중심의 삶의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나타나게 된다. 다른 이들을 교회의 교제 가운데로 오게 하여, 우리와 같이 주를 섬기며,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살게 하는 일은 우리의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의 삶은 이런 몇 가지 근거에 비추어 볼 때 과연 교회 중심의 삶인지가, 아니면 아직까지도 나 중심, 또는 한국의 많은 이들이 그러하듯이 가정 중심의 삶인지를 우리는 진지하게 물어야 할 것이다.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임하여 온 하나님 나라를 위한 교회 중심의 삶이 우리들에게서 확연히 나타날 수 있기를 바란다.
개혁주의 또는 칼빈주의 교회관이 간결하고 쉽게 소개된 글을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글쓴이는 현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의 조직신학 교수이고 서울 언약교회를 담임하고 계시는 이승구목사입니다. 현재 우리교회와 비교해서 겉으론 별다른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제가 앞서 소개했던 글에서 칼빈주의의 표지는 가르침과 질서(성례와 권징의 실행)에 특징이 있다고 지적했던 것처럼 이교수의 교회관에도 이 점이 분명합니다.
첫째, “교회의 교회된 사명을 잘 감당하게 하려면 교회를 통해 풍성한 말씀의 가르침을 받는 일을 제일의 우선적인 과제”라 한 것은 단순히 ‘가르침’ 그 자체 보다는 ‘말씀을 맡은 가르치는 교사(목사)의 직분적 역할과 권위’가 함께 강조되고 있습니다.
둘째로 “성경이 말하는 참으로 교회 중심적인 삶이란 하나님 나라를 증시하는 교회의 사명에 충실한 교회의 지체 의식을 가지고 사는 삶이다”라고 한 것처럼 ‘지체의식’이 강조됩니다. 물론 여기서 지체의식이란 하나님 백성으로서 전체적 의미에서 지체란 점도 내포되어 있지만 좀더 적극적으로 한 공동체 속에 포함된 성도로서의 지체의식에 주안점이 있습니다. 즉 개별 성도는 그 자신이 독립된 완전한 교회로써 존재한다는 점보다 교회에 포함된 일원이라는 의식을 말하고 있다. 이처럼 공동체에 대한 강조는 자연히 질서의 강조로 이어졌고 권징이란 개념이 구체성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예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새찬송가 전곡 듣기 1장-645장 (0) | 2015.04.06 |
---|---|
[스크랩] 신앙인의 시간관리 십계명 (0) | 2015.04.06 |
[스크랩] 한국교회 잘못된 예배용어, 이것만은 고치자 (0) | 2015.03.23 |
[스크랩] 내 삶의 이력서*이재철 목사 (0) | 2015.02.22 |
[스크랩]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에 대한 로버트 가프리 박사의 견해 (0) | 201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