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한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고? 불의한 청지기 비유 뜻풀이예수님의 비유 중에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 중 하나는 누가복음 16장에 나오는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입니다. 이 비유를 한번 풀어 볼까 합니다. 사실, 이 비유는 온통 난해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앞뒤의 말들이 연관성이 없어 보입니다. 더욱이 이 비유에 이어지는 바리새인들에 관한 이야기는 더욱 앞뒤가 안 맞아 보입니다. 한번 볼까요?
예수님은 비유를 마치고, 9절에서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고 합니다. 왜 불의한 재물일까요? 주인의 것을 자기 마음대로 했기 때문에 불의하다고 하셨을까요? 그런데 11절에서는 "너희가 불의한 재물에도 충성하지 않으면 누가 참된 것을 너희에게 맡기겠는냐" 하고 물으십니다. 아무리 이해하려 해도 비유에 나오는 청지기는 충성하지 않았음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13절은 정말 뜬금없어 보입니다. 불의한 재물에 충성하라 해 놓고,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는 선언으로 끝이 납니다. 이어지는 바리새인과의 대화는 더욱 가관입니다. 돈을 좋아하는 바리새인들은 왜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비웃었을까요(14절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왜 사람에게 높임을 받는 문제를 거론하시고, 아무 연관이 없어 보이는 율법과 선지자의 유효 기한에 대해 말씀하셨을까요?(15~17절) 마지막으로 예수님은 느닷없이 간음에 대한 이야기를 왜 꺼내셨을까요(18절입니다)? 비유 내용 자체로는 어렵지 않지만, 비유에 대한 해석과 사람들의 반응, 그리고 이어지는 예수님의 반응은 일관성을 찾기 어렵고 난해하기만 합니다.
이제, 풀이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먼저, 이 비유의 결론 역할을 하는 13절의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는 말씀에서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마지막 말씀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비유의 핵심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는 것입니다. 비유의 해석 부분이 난해해 보이지만 비유가 가리키는 바는 분명한 것이지요. 하나님과 재물 안에 동시에 머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부터 비유는 해석이 시작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이 비유의 초점을 흐리게 만드는 원인은 9절에 있습니다. 불의의 재물로 친구를 사귀라니 알쏭달쏭합니다. 하지만 헬라어 원문을 보면 이 문장에 대한 번역에 약간의 문제가 있는 것을 알게 됩니다. 먼저, 제 번역은 이렇습니다.
"세상의 재물 속에서 빠져나와 친구를 사귀어라. 그러면 그 재물이 없어질 때에 그들이 너를 영원히 거할 집으로 받아들여 줄 것이다"
이렇게 번역한 이유를 달아보겠습니다. '불의한 재물'은 직관적으로 '의로운 재물'이라는 상관어를 떠오르게 합니다. 하지만 누가복음 전체를 살펴보면 재물은 기본적으로 세속적이고 불의한 것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 듯합니다. 그래서 공동번역은 '세속의 재물'이라고 번역을 했습니다. 즉 불의한 재물, 의로운 재물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통용되는 재물, 부유함을 의미하는 것이 '불의한 재물'이라는 말인 것이지요.
사실 더 중요한 것은 '불의의 재물로'라는 말의 의미입니다. 이 문장에는 전치사가 두 개 사용되었습니다. 하나는 '안에서 밖으로'라는 의미를 가진 ek 라는 전치사이고 다른 하나는 '밖에서 안으로'라는 의미의 eis라는 전치사입니다. ek라는 전치사는 '재물' 앞에 쓰였고 eis라는 전치사는 '처소' 앞에 쓰였습니다. 그래서 이 문장의 문학적 구조는 '불의한 재물 밖으로'와 '영원한 처소 안으로'가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물론 ek라는 전치사가 genitive 앞에 쓰이면 '로부터(from)'의 의미를 갖습니다. 그리고 본문의 '불의한 재물'은 genitive입니다. 그렇다고 genitive 앞에서 ek가 '안에서 밖으로' 라는 의미를 상실하는 것은 아닙니다. ek가 genitive와 함께 쓰인 대표적인 예가 족보에 나옵니다. 누가 누구를 낳고, 낳고 할 때인데, 아비로부터 아들이 나왔다는 말의 궁극적 의미는 아버지 안에서 아들이 밖으로 나왔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ek라는 전치사에는 '~을 가지고'라는 도구적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좀 복잡하게 설명을 했는데 정리해서 말하자면, 9절의 의미는 '불의한 재물을 가지고 친구를 사귀어라'로 해석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이 말은 "불의한 재물에서 '나와서' 친구를 사귀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그 친구가 너를 영원한 집 '안으로' 영접해 줄 것이라는 것이지요. 9절을 이렇게 이해하고 나면 그 뒤에 나오는 말들이 줄줄이 이해가 됩니다.
10절, 11절에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성'이라는 단어는 '믿음'과 같은 어원으로 '믿을 만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공동번역과 표준새번역은 조금 더 가까운 의미의 '충실'로 번역했습니다. 그래서 10절, 11절은, 작은 것에 믿을 만하지 못하면 큰 것에서도 믿을 만하지 못한 것처럼, 너희들이 세상의 재물을 대하는 태도에서 믿을 만하지 못한 사람이라면, 즉 세상의 재물에서 나오지 못해 허우적거리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세상 것이 아닌 참된 것을 너희에게 맡길 수 있겠느냐는 의미가 됩니다.
이어 12절은, 비유의 청지기처럼 자기 것도 아닌 남의 재물에서 나오지도 못하는, 믿을 만하지 못한 사람이라면, 누가 진짜 자기의 것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말씀인 것이지요. 그러면, 13절이 분명하게 이해가 됩니다.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다, 재물에서 나와야 한다, 하나님과 재물 안에 동시에 머물러 있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제, 바리새인들 이야기로 넘어가겠습니다. 바리새인들은 돈을 좋아했습니다. 재물을 하나님을 잘 섬긴 보상이라고 생각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더 나아가서 재물을 모아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 보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어쨌든 하나님과 재물에 대한 동일시까지는 아니어도 둘은 비례한다고 생각한 듯합니다.
하지만 15절에서 예수께서는, 하나님을 잘 섬겨 부자가 됐다고 생각하는 바리새인들을 향해, 사람에게 높임을 받는 것이 오히려 하나님 앞에서는 미움을 받는 것이라고 질책합니다. 이어 16, 17절에서 예수께서는 율법과 선지자의 시대는 가고 '새로운 시대가 왔다'고 선언하십니다. 율법의 많은 부분이 재물의 정당성을 지지해 주는 듯하지만, 그 시대는 갔고 이제 새로운 시대가 왔다는 선언입니다.
그리고 17절은 바리새인들을 향한 예수의 탄식입니다. 율법의 시대가 이미 지나갔지만 바리새인 너희들에게는 율법의 한 획이 떨어지는 것보다 천지가 없어지는 것이 더 쉬움을 알고 있다는 예수님의 탄식인 것이지요. 여기에서 이 비유의 핵심적인 메시지가 비로소 등장을 합니다.
바리새인들이 목숨처럼 붙잡고 있던 것은 '율법을 지키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룰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 율법 수호는 하나님의 물질적 축복과, 물질을 통한 하나님나라의 회복과 긴밀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께서는 이 비유를 통해 율법 준수보다 더 소중한 가치를 말씀하시는데 바로 빚진 자들을 친구로 삼는 것, 재물에서 나와서 빚진 자들과 진정한 친구가 되는 것, 바로 그것이 하나님나라의 출입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께서는 "우리에게 빚진 자들을 탕감해 준 것처럼 우리의 빚도 탕감해 주십시오"라고 기도하도록 가르치셨고, 친히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가 되셨습니다.
마지막 18절의 간음 이야기는 율법을 맹신하던 바리새인들이 자기들의 주장을 합리화하기 위해 사용했던 비유를 예수님께서 재사용하신 것으로 보입니다. 아내를 버리고 다른 데 장가드는 것이 간음인 것처럼, 율법을 버리고 다른 사상을 받아들이는 것은 간음이라고 주장하는 바리새인들을 향해, '그래 너희는 도무지 율법의 한 획도 버릴 수 없지' 탄식하시며, 하지만 율법의 때는 지나갔다 선언하신 예수님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지요.
눅16:9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불의한 맘몬으로 너희를 위해 친구들을 사귀라. 그리하면 너희가 숨이 멎을 때에 그들이 너희를 영존하는 거처로 받아들이리라(킹제임스 흠정역)
정리하자면, 이 비유의 메시지는 하나님의 나라는 율법의 준수나 하나님의 물질적 축복이 아니라 빚진 자들과의 친구 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맘몬을 주님과 겸하여 섬기면 죽을 때 지옥으로 편안히 인도한다.-ⓗ |
'설교. 신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한계시록을 바로 알기① (0) | 2014.08.18 |
---|---|
[스크랩] 교회에서 가르치는 거짓말* (0) | 2014.07.11 |
[스크랩] 계시록,`십일`환란을 어떻게 해석할까? (0) | 2014.07.11 |
[스크랩] 삼층천,三層天.third heaven 의 의미 (0) | 2014.07.11 |
[스크랩] 장로의 관심-(1강) (0) | 201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