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단(나쁜신앙)

[스크랩]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Jürgen Moltmann)와 ●칼바르트 경계 // 그리고 ◆ⓐ 김석년목사(서초교회)와 ◆ⓑ 헨리 나우웬을 경계하라

수호천사1 2014. 5. 2. 22:01

※한국사회와 한국교회,공공의유익위해 이글을 공표합니다

 

희망의 신학으로 포장된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은 →사탄의 [[몰모트]]인가?

<공공의 유익을 위해 ⓐ칼바르트 ⓑ헨리나우웬 ⓒ김석년목사에 관해 검증과 분별>

 

 

이단 보편구원론(만유구원론)

이단 보편화해론(만유화해론)을

주장하는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의 이단성을 

숙지하고 몰트만경계하라!!!

 

 

몰트만은 2013년 10월 1일 서초교회(=서초성결교회:서초구 반포동 or 서초중앙로 소재 : ●담임 : 김석년 목사 [ 헨리나우웬(=이단  카돌릭  사제이고  보편구원론자이며 동성애자)의 추종자 ] )에서 열리는 콘퍼런스에서 강의한다 

 

 

 

희망의 신학으로 포장된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은 →

  사탄의 [[몰모트]]인가 혹은 아닌가?

 

 

"이것이 이상한 일이 아니라 사단도 자기를 광명의 천사로 가장하나니"

고린도후서 11:14

 

 

몰트만,칼바르트,헨리 나우웬을 경계하라

 

1.이단성으로 가득찬 독일의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Jürgen Moltmann)을 경계하라 !!!

 

 

 

 

 

"몰트만은 그의 주요 저서인 [오시는 하나님]에서 죄인들과 심지어마귀도 최종적으로는 하나님과 화해 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물론 일시적인 심판이 있겠지만 심판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귀도 최종적으로는 하나님과 화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단적인  몰트만의 신학사상은 성경을 근거로 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수용하는 개혁주의 교회들과 성경적 오순절 근본주의 교회들은 받아들일 수 없는 이단 사상입니다.그리고 몰트만은 종말론적인 계시관에 의하여 확증되지 않는 미래의 부활에 대한 기대에 의하여 하나님의 존재를 보류시키고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하나님을 못박아 버려서 제거합니다."

 

 

 


칼 바르트는 독일 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려지는 자유주의 신학자입니다

바르트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역사적 확실성을 부정하는 이단입니다

 

 

 

칼 바르트 사후 독일 신학계에는 세 명이 등장합니다.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에버하르트 융엘 입니다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났으며,1954년 시골교회에 시무하기도 하고, 브레멘에서 교목생활도 하고,
1955년 괴팅헨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1958년에 '퍼젤과 브레멘에서의 칼빈주의' 를 필두로 1961년 '예정과 견인',
1965년 '기독교 종말론의 定礎와 결론에 관한 논구(희망의 신학)' 를 마르크스 사회주의자인 에른스트 블로흐의
喜望의 哲學에 대한 神學的 비판과 대답으로 출간하게 됨으로 화제가 되기 시작합니다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의 기독론은 십자가와 부활로 대변되는데, 먼저 부활에 대한 사상은 역시 종말론적으로 봄으로 말미암아 미래 부활의 선취로 상징으로 보게 되고 그리스도의 부활사실을 역사 밖으로 추방하고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자유주의 신학자인 몰트만의 십자가와 부활은 성경적 근본주의 신학자의 십자가와 부활의 의미와 너무나 다릅니다

몰트만이 말하는 부활은 희망의 논리를 전개하기 위해서 십자가신학은 신을 십자가에 못박아 제거하기 위한 방편으로 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성경신학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언약이 성취되는 실증으로 증거하므로 장차 성도의 부활의 확증을 갖습니다.

이단성이 농후한 자유주의 신학자인 몰트만의 십자가 사상은 종말론적으로 삼위일체론에 적용하여 실존주의로 흐르고 있습니다. 그 결과 사신신학으로 전락하는 계기를 만들고 말았습니다.

 

성경신학은 하나님이 구약에서 하신 약속의 성취로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존재와 속성을 계시하고 있습니다.
즉 언약대로 오셔서 십자가상에서 죽으셨으므로 신실성을, 하나님의 계시된 뜻대로 되었으므로 주권성을,
그의 부활하심을 인하여 전능성을 그리고 단번에 영원한 속죄를 이루시므로 영원성을 또한 죄인을 위하여 지셨으므로 자비성을 계시하셨다고 증거합니다.

 

또한. 몰트만의 역사관은 보편역사관을 부정하고 종말론적인 역사관을 말합니다

그는 미래의 희망이 역사를 이끌어 간다고 하므로 인간을 역사의 주관자로 삼고 하나님의 존재를 역사에서 제거합니다.

 

성경신학에서는 하나님이 과거의 역사에서 약속하시고 그것을 때가 차매 성취해 나가시므로 역사가 하나님에

의해서 시작되어졌고 주관되어지고 종말을 향해서 나아감을 증거하고 있습니다


특히 몰트만은 성경을 장래 주어질 종말에 의해서 해석하므로 하나님의 자기 계시로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명하는데 이르지 못합니다. 몰트만이 주장하는 희망의 신학을 자세히 상고 해볼때 ,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은 희망의 근거로 약속을 제시하지만 계약의 관점으로 이해하므로 인간이 희망을 성취하기 위해 현재적 결단과 계약의 준수를 해야 하는 인간에 의한 신학이므로 인본주의 신학입니다

 

참고로,성경신학은 성경은 하나님이 자기계시를 위해 약속하시고 약속하신 하나님이 성취하심으로 하나님의 주권성을 계시하고 약속을 성취하심으로 하나님의 속성과 존재를 증명합니다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에서는 희망의 원리를 부활에 두면서 부활은 역사적인 성격이 아니고 종말론적이어서 종말에야 확증될 사건이라고 주장합니다.
즉 그의 사상의 중심에 있는 부활신학에서 하나님의 존재의 확정을 미래에 보류하여 불가지론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몰트만의 십자가의 신학(?)에서 종말론적 삼위일체를 제시하여 신이 십자가에서 죽음을 말하므로 신을 제거하게 됩다.

성경신학에서는 십자가와 부활은 언약 성취의 실증으로 제시함으로 언약하신 신 존재를 확증적으로 증거합니다


 

 

 

자유주의 신학자 몰트만은 제 3세계 신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자유주의 정치신학을 전개해 왔습니다.

몰트만은 특히 흑인해방신학, 여성 해방신학, 남미 해방신학, 민중신학 등에 대해서 아주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그들의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 신학자의 한 명 입니다 

 

 

몰트만은 초월적 하나님을 부정하면서 에브너의 말을 인용하여 "영원한 삶은 말하자면 절대 현재에 있어서의 삶이요 실제로 하나님의 현재를 의식하는 인간의 삶이다" 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위르겐 몰트만(Jurgen Moltmann) 같은 자유주의 신학자를 경계해야 합니다

 

동성애자이며 이단 카돌릭 사제인 ●헨리 나우웬의 [[한국 추종자들 종교카르텔]]에 의해  →→ 몰트만은   한국교회에 잘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여러 교회에서 설교를 한적이 있습니다.

 

또한 밥벌이 종교인들의 농간때문에  몰트만을  건전한 신학자로 혼동하고 있는 정신나간 목회자들도 있습니다 

 

특히  이단성이 농후한 자유주의 신학자인 몰트만의 교회관은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교회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입니다.

 

몰트만은 교회를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한 성도들의 모임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이 있는 곳이 곧 교회라는 논리를 폅니다. 자세히 설명한다면 몰트만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예수님이 가난한 자들이나 병든 자들과 자신을 동일시 하셨으며 이는 가난한 자나 병든 자와 함께 하는 것은 자선행위가 아니라 그리스도와 함께 하는 것이며 그것이 곧 교회라는 것입니다. 즉 그는  해방신학과 민중신학의 영향을 받은 정치신학으로 고통받는 자들과 함께 하는 예수님이므로 그것이 곧 교회라는 것입니다.

 

결국 몰트만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한 성도들의 모임으로 된 성경적인 교회를 무시하고 ,본인의 정치신학에 의거하여 교회를자유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는 것입니다. 몰트만이 가진 신학사상은 엄청난 이단성을 가진 매우 불건전한 신학사상입니다.

 

그래서, 어떤 분들은 몰트만을 이단이라고 강력하게 정죄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개혁주의 교회와 성경적 근본주의오순절 교회가 →  이단성이 농후한 문제의 인물인 몰트만과 몰트만의 신학을 경계해야 합니다

 

A◆우선 그의 신관은 뉴에이적 만유재신론적 신관입니다.

만유내재신론(萬有內在神論)이란 영어로  panentheism으로서

만유가 하나님을 담고 있다는 뉴에이저 신관과 연결되지요.

전통적고 성경적인 신학에서 강조된 하나님의 초월성은 약화되고, 하나님의 내재성이 극단적으로 강조됩니다.

 

B◆또 하나의 심각한 문제는만유회복론입니다. 몰트만은 그의 주저 [오시는 하나님]에서

죄인들과 심지어 마귀도 최종적으로는 하나님과 화해 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물론 일시적인 심판이 있겠지만 심판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귀도 최종적으로는 하나님과 화해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단적인  몰트만의 신학사상은    성경을 근거로 하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수용하는 개혁주의 교회들과 성경적 오순절 근본주의 교회들은 받아들일 수 없는 이단 사상입니다.

 

그리고 몰트만은 종말론적인 계시관에 의하여 확증되지 않는 미래의 부활에 대한 기대에 의하여 하나님의 존재를 보류시키고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하나님을 못박아 버려서 제거합니다.


이제 남은 것은 미래에 희망과 기대를 심어주어서 역사함으로 나타나는 인간 공동체인 교회만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그 교회는 인간의 결단과 노력으로 가난과 질병과 정치, 경제, 문화 등 모든 상황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할
의무가 남은 것입니다.

 

 

그 일을 하는 것이 선교이고 교회의 사명이라 하므로 해방신학과 정치신학, 그리고 사회구원론에 이릅니다.
이와 같은 몰트만의 신학사상은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의 도전에 대한 신학적인 비판과 답변이라기보다는 희망의 철학을
기독교로 각색한 철학사상에 불과한 기독교의 탈을 쓴 사회주의 사상입니다.
이러한 그의 사회구원적인 교회관은 세계교회연합운동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현재의 종교연합운동인

종교다원주의의 모체가 되기도 한 것입니다.

 

그래서 이단성으로 가득찬자유주의 신학자인  몰트만의 교회론은 실존주의적인 교회론으로 해방신학과 정치신학에 귀결됩니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은 성경이 말하는 부분을 넘어서 성경이 말하지 않는 영역으로 나아가고 있고

성경을 하나님의 계시와 신학의 절대규범으로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몰트만의 신학은 이단성이 농후함으로 한국교회는 몰투만을 경계해야 합니다

 

 

=============================

 

2.지금 독일 기독교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독일 기독교 연합회와 독일의 크리슬람 운동

독일 기독교연합회(EKD : Evangelischen Kirche in Deutschland)는 독일 교회들을 대표하고 있다. 그리고 독일 정부 관할 교회(Landeskirche)들은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에 깊이 물들어 있으며, 동성애 결혼을 지지한다.



EKD는 동성애 목사들을 인정하고 동성 결혼을 축복하며, 심지어 포르노 잡지를 교회 차원에서 나누어주는 일도 한다. EKD 핵심 인물인 ‘니콜라우스(Nikolaus Schneider)’는 성경만이 진리이고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통해서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기독교 진리’를 공식적으로 부정한다.



EKD의 또 다른 핵심 인물인 ‘마르고트 캐스만(Margot Kaßmann)’은 예수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을 부정한다(Margot Kaßmann - wikipedia).
EKD는 성경의 절대적인 권위를 부인하고 자유주의 신학을 근거로 해서 성경 비평에 입각한 학문연구의 결과를 중요시 여긴다. 이제 독일에서는 기독교와 이슬람이 연합한 ‘크리슬람’ 운동이 보편적인 현상이 되었다.



그러나 독일 정부로부터 월급을 받지 않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성경적 근본주의 오순절 목사들은 ‘예수님 만이 구원자’임을 외치며, ‘성경의 절대적 권위’를 내세워 영혼구원에 앞장서고 있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교회들을 위해 중보 기도 해야 할 때이다.



크리스찬트리뷴 특별호(2013년 3월 28일) 기사



저작권자 ⓒ 크리스찬트리뷴. 무단전재-재배포금

 

===============================================

 

3.이단 동성애자 헨리 나우웬[보편구원론] 사제는 행복한가?

         김석년목사[서초교회]와 관련하여 생각하며

김석년목사[서초성결교회:서초구 반포동 소재]의 말과

이단이며 동성애자인 헨리 나우웬의 특별한 행복

동성애 사제 헨리 나우웬을 경계하며


이단 동성애자 헨리 나우웬[보편구원론] 사제는 행복한가?


김석년목사(서초성결교회:서초구 반포동 or 서초중앙로 소재)의 말과

                           이단이며 동성애자인 헨리 나우웬의 특별한 행복




 

 

이단 동성애자 헨리 나우웬을 행복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며 혼돈에 빠지는 크리스찬이 있는 듯하다.


김석년목사(서초성결교회)같은 종교인은, 동성애자이며 이단인 헨리 나우웬 카톨릭 사제를 통해서 참다운 인생의 성공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국민일보에서 자랑스럽게 인터뷰를 했다. 그런 경우를 볼 때 헨리 나우웬은 특별히 행복한(?) 사람처럼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진리이신 예수를 따르는 목회자 및 성도들과 참된 예수님의 몸된 교회의 입장에서 볼 때


예수 외에도 구원이 있다는 보편구원론자이며 동성애자(Gay)인 헨리 나우웬】
① 행복하지 않을 뿐더러,


② 지금 지옥에서 엄청나게 고통을 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③ 광명의 천사 가면을 쓰고 많은 사람들을 지옥으로 인도하는 ‘지옥 인도자’들의 롤모델이고,


④ 이단 헨리 나우웬을 통하여 참다운 인생의 성공을 발견했다는 김석년목사같은 부류의 사람들을 조심해야 할 것이라고  많은 크리스찬들이 언급하고 있다.


⑤ 참고로 이단이며 동성애자인 헨리 나우웬을 통해 인생의 성공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하는 믿음의 고백은 김석년목사의 신앙의 고백일 뿐이다.


⑥ 예수님의 참된 목회자들은 이단을 경계하면서, ‘동성애자 헨리 나우웬은 성공한 인생이 아니라 많은 사람을 지옥으로 인도하는 Gay(동성애자) 사제’라고 경계한다.



⑦ 이것이 김석년목사와 예수님의 참된 목회자들의 차이점이다.


⑧ “국민일보는 기독교신문을 표방하나, 많은 사람들은 국민일보를 단순한 세상 일간지로 여기고, 이태형 기자는 월급 받는 기자일 뿐”이라고 언급하는 크리스찬들이 많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기독교 신문을 표방한 국민일보는 동성애자이며 이단인 헨리 나우웬 사제에 대해 정확하게 글을 써서 국민일보에 대한 독자들의 우려를 없애고, 기독신문으로서의 사명을 감당하도록 ‘미션’면 담당 종교국의 편집방침이 정비되어야 한다고 많은 분들이 지적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보편구원론자인 이단 헨리 나우웬을 미화하는 글을 쓰는 종교부 기자들에 대해 올바른 기사 작성의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예수 외에도 구원이 있다고 믿는 이단 헨리 나우웬에게서 ‘참다운 인생의 성공을 발견했다’는 김석년목사의 글도 실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분명히 지적하는 바이다. 국민일보는 미션면(종교면)을 면밀히 지켜보는 기독인 독자들이 예기치 않는 행동(국민일보 불매운동)을 촉발하지 않도록 자체 정화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국민일보에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진실한 크리스찬 기자도 있음을 알고 있다.


국민일보 이태형 종교 기자는 국민일보 ‘한마당’이라는 기고란에 ‘나우웬의 벤치’(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3684304&code=11171211 )라는 기사를 쓰며 이단 카톨릭 동성애 사제 헨리 나우웬을 은근히 좋은 각도로 홍보하고 있다고 많은 목사님들이 염려하며 지적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또한 국민일보 이태형 종교 기자와 김석년목사는 얼마나 친밀한 관계인지, 이단 동성애(Gay) 카톨릭 사제 헨리 나우웬의 영성을 추구하는 바에 있어서 아름다운 동행을 하는 관계인지는 몰라도, 이태형기자는 기사를 쓸 때 “서초교회 김석년 목사는 “목회는 하나님이 ‘봐 주셔야’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나님이 ‘봐 주시는 만큼’ 목회하다가 어느 순간 ‘하나님이 봐 주시지 않는다’고 느껴지면 항복해야 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다시 ‘하나님이 봐 주신다’고 느껴지면 ‘다시 목회를 하면 되는 것’이라는 설명” 을 인용한다. 참으로 아름다운 동행인 듯 하다고 많은 성경적 목사들이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보면 김석년목사는 동성애자 이단 카톨릭 사제 헨리 나우웬을 통해서 참다운 인생의 성공이 무엇인지를 발견하게 되었다고 말한 것이 시간이 지나가면 하나님이 봐주신다고 착각하는 것이 아닌지 많은 목사님들이 실소를 금치 못한다고 많은 성도들이 언급한다고 전해진다.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공공의 유익을 위해 이 글을  공표합니다.



†한국교회이단연구소

 

 

출처:크리스찬트리뷴

http://www.kctn.net/contents/news/newsView.asp?board_type=0105&board_title=&board_nm=&search_field=&search_word=&page_no=1&action_flag=&page_str_menu=0105&bbs_seq=685

 

========================

 

 

4.독일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이단 칼 바르트는 누구인가?

 

칼 바르트(Karl Barth)의 신학과 믿음은 아래와 같다

 

1. 성경은 무오(無誤)하지 않다.

 

선지자들과 사도들 자신은 심지어 그들의 직분에 있어서도, 심지어 증인으로서의 그들의 역할에 있어서도, 심지어 그들의 증거를 기록하는 행위에 있어서도, 우리와 같이 실제, 역사적 인간이었고 그러므로 그들의 행동에 있어서 죄가 있고 그들의 말이나 기록에 있어서 잘못을 범할 수 있었고 또 실제로 범했다(Church Dogmatics, I. ii. pp. 528, 529).

 

2. 성경의 역사적 사건들 전반에 대해 회의적이다.

 

아브라함과 모세와 같은 인물들이 후대의 신화 제작의 산물들이든지 아니든지 무슨 문제가 되는가[!](The Word of God and the Word of Man, p. 65).

구약과 신약의 성경 역사는 실상 전혀 역사가 아니고, 위에서 보면 일련의 자유로운 신적 행위들이며 아래서 보면 본질상 불가능한 어떤 것을 이루려는 일련의 결실 없는 시도들이다(Ibid.).

 

진정한 역사 속에 ‘역사적인’ 것과 ‘비역사적인’ 것이 동반하고 함께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필요하고 의무적이다(Church Dogmatics, III. i. p. 81).

우리는 아담 안에 있는 전체 진리가 위치한 앞뒤 문맥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 자체로는 그것이 거짓이며, 그것이 그리스도 안에 있는 진리에 관계된다는 사실에서만 어떤 타당성을 가진다(Christ and Adam, pp. 54, 55).

 

3. 성경의 천지 창조 기록은 사가(saga)이다.

 

그것은 자체 안에 시간의 시작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역사적 실상은 모든 역사적 관찰과 진술을 피하며, 성경의 창조 이야기들에서 오직 순수한 사가(saga)의 형태로만 표현될 수 있다(Church Dogmatics, III. i. p. 42).

[그는 사가를 ‘역사의 선(先)역사적 실상에 대한 시적 묘사”라고 설명했다(Ibid., p. 81). 그것은 신화와 같은 개념이다.]

 

4. 아담의 타락은 사가(saga)이다.

 

그 첫번째 사람이 이런 식으로 존재하게 되었고 이런 식으로 존재하게 된 자로서 존재했다고 우리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역사가 아니고 오직 사가(saga)일 뿐이다. . . . 그리고 타락, 즉 그 첫 사람의 타락이 발생했던 것은 바로 이런 영역에서, 다시 말해 예언적으로 증거된 말씀과 하나님의 심판에 의해서이었다(Ibid., IV, i, p. 508).

 

5.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들은 신화이다.

 

우리의 세계가 예수 안에서 다른 세계에 의해 접촉될 때, 그것은 역사, 시간, 혹은 사물로서 직접 관찰될 수 있기를 그친다. . . . 그리스도로서, 즉 메시아로서의 예수는 역사의 종말이시다. 그리고 그는 오직 역설로서(키에르케골), 승리자로서(블룸하르트), 원시 역사로서(오베르베크)만 이해될 수 있다.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는 우리의 이해를 초월해 있는 지평이시다. 그는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그 지평을 수직적으로 위로부터 가로지르신다. 그리스도로서의 예수는 역사 안에서 오직 문제 혹은 신화로서만 이해될 수 있다(Ibid., pp. 29, 30).

 

6. 예수 그리스도의 처녀탄생을 분명히 긍정하지 않는다.

 

그의 어머니가 젊은 부인으로 불리우는가 아니면 처녀로 불리우는가 하는 옛 논쟁은 그 진정한 의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Church Dogmatics, IV. i. p. 5, footnote).

 

7.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의 역사적 확실성을 부정한다.

 

그리스도의 부활이나 그의 재림은--그것은 동일한 것인데--역사적 사건이 아니다(The Word of God and the Word of Man, p. 90).

부활은 역사 안에서 일어난 한 사건(an occurrence)이다. . . . [그러나] 부활은 도무지 역사상의 사건(an event in history)이 아니다(The Epistle to the Romans, p. 30).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사건이 역사적으로 발생했다는 사실에 대해서 아무런 증거도 없고 어떤 증거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도 안된다는 것이 명백하다(Church Dogmatics, IV. i. p. 335).

 

실제로 성경 역사에 결정적 요소들인 창조 이야기와 및 다른 많은 이야기들과 공통적으로, [예수의] 부활의 역사는--현대 학자들의 사고형식들과 용어로--사가(saga) 혹은 전설로 간주되고 묘사되어야 한다는 것을 대항할 아무런 이유도 없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은 확실히 현대적 의미에서 역사로 생각될 수 있지만 부활은 그렇지 않다(Ibid., pp. 335, 336).

 

8.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역사성을 부정한다.

 

그리스도의 부활이나 그의 재림은--그것은 동일한 것인데--역사적 사건이 아니다. 여기에서 우리의 관심은 한 사건 즉 비록 그것이 역사 안에서의(in) 유일한 실제적 사건이지만 역사의(of) 한 실제적 사건이 아닌 사건에 대한 것이라는 것을 역사가들은--물론 그것이 그들의 확신을 파괴하게 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재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The Word of God and the Word of Man, p. 90).

 

9. 보편 구원론적 경향이 있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버려두지 않으실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버림을 당하거나 최종적으로 타락하도록 허용되지 않는다. . . . 하나님의 은혜는 반드시 죄인에게 심판의 형태를 취하지만 그를 포기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심판의 형태 속에서도 하나님의 은혜는 은혜이기를 중단치 않는다(The Word of God and the Word of Man, p. 90).

 

하나님의 ‘예’[용납]는 선언되었고 받아들여져야 한다. . . . 그것은 영원 전부터 그가 아들 안에서 택하시고 사랑하신 인류에 대한 그의 ‘예’이었고 ‘예’이다(Ibid., IV. i. p. 356).

하나님의 영원한 뜻에 근거하여 우리는 모든 인간 존재가, 심지어 가장 쓸데 없는 자들, 가장 악하고 불쌍한 자들까지도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형제이시며 하나님께서 그의 아버지이심을 생각해야 하며, 우리는 이러한 생각 위에서 그를 취급해야 한다(The Humanity of God, p. 53).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인자하심에 대해 그 어떠한 종류의 제한을 가할 아무런 신학적 권리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것만큼은 확실하다. 우리의 신학적 의무는 그것[하나님이 인자하심]이 우리가 전에 보았던 것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을 보고 깨닫는 것이다(Ibid., p. 62).

 

 

10. 죽은 자의 몸의 부활을 부정한다.

 

몸의 부활은 스캔달이요 부조리요 종교적 물질주의요 거침돌이다(죽은 자의 부활, 89쪽).

 

 

11. 성경은 윤리의 객관적 규범이 아니다.

 

 

사람은 자유의 은사(gift)에 내재한 명령에 따라 행동할 때 선을 행한다. 그는 그의 자유에 반대되는 법에 복종할 때 악을 행한다. . . . [그러나] 어떻게 인간의 자유가 인간의 행위에 대해 지침과 기준이 되는지를 결정하는 분은 하나님이시다. 자유인은 하나님의 가장 구체적인 명령에 복종한다. 왜냐하면 이 명령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가 권위적 형태를 취하고 인간이 직면하고 측정되는 바 그 명령이 확고하게 되기 때문이다(“The Gift of Freedom: Foundation of Evangelical Ethics,” The Humanity of God, p. 84).

 

선과 악의 문제는 결코 사람이 일련의 규범들로서의 하나님의 권위적 말씀을 인용함으로써 대답되지 않는다. 그것은 결코, 선하고 악한 행위들의 법전, 선하고 악한 것에 대한 일종의 잣대로서 사람에 의해 발견되거나 자신과 타인들에게 부과되지 않는다(Ibid., p. 85).

 

 

 

=======================================================

 

●크리슬람(Chrislam)의 릭워렌,하나님(God)과 알라(Allah)가 같은 신이라고 -- 이슬람 사원(모스크)과 손잡다.♠↓반드시클릭↓

아래 링크주소를 클릭하면 볼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fgbc/6PzL/322

 

 

 

 한국사회와 공공의 유익을위해 아래 글들을 소개합니다

 

 

★아래에 링크된 주소를 클릭하여 반드시 상세하게 글을 읽고  분별하길 바랍니다

 

 

1●크리슬람(Chrislam)의 릭워렌,하나님(God)과 알라(Allah)가 같은 신이라고 -- 이슬람 사원(모스크)과 손잡다.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6PzL/322

 

 

A-1●이단 통일교 문현진씨와 이단 크리슬람 릭워렌 그리고 이단 릭워렌의 한국의 충실한 동역자 오정현목사(사랑의교회)를 경계하라!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R8lJ/53

 

 

A-2●[필독]★ 한국 기독교 치욕의 죄악사 : -[한국교회 성결의 회복] - 정바울 목사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R8lJ/52

 

 

A-3●오정현, 오정호목사 형제에 대한 ‘이단성 조사’ 요구 빗발쳐!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R8lJ/49

 

 

 

A-4●사탄의 영에 사로잡힌이단 통일교 문현진 씨의 [Global Peace Festival]과 이단 릭 워렌의 Global Peace Plan]을 경계하라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R8lJ/54

 

 

 

A-5●[시리즈1] 신사도운동(이단)의 대부 김태진 목사[아가페신학연구원]의 정체 및 근원 & 김태진 목사의 거짓주장 ▶ 이단 변승우 씨 & 허철 목사[순전한나드] 경계

 

http://cafe.daum.net/fgbc/6PzL/302

 

 

A-6●[시리즈2] 신사도운동(이단)의 김태진 목사[아가페신학연구원] & 허철 목사[순전한나드] & 이단 변승우씨의 공통점/★신사도운동 리더 릭조이너 & 하이디 베이커

 

 http://cafe.daum.net/fgbc/6PzL/297

 

 

A-7●신사도운동 / 신사도운동의 한국 현주소 / 이단 변승우씨.... / 한국 신사도운동의 거점

 

http://cafe.daum.net/fgbc/6PzL/279

 

 

A-8●이단 변승우 씨(큰믿음교회) & 이단 타드 벤트리

 

 http://cafe.daum.net/fgbc/JudK/143

 

 

---------------------------------------

 

 

 

■한국사회와 공공의 유익을위해 아래 글들을 소개합니다

 

아래에 링크된 주소를 클릭하여 반드시 상세하게 글을 읽고

 

→어떤 교회들이

바벨탑교회인지를 분별하도록

진지하게 생각하기를 바랍니다

 

 

링크된 주소를 반드시  클릭하여 읽읍시다!!

♠↓반드시클릭↓

 

 

 

1●크리슬람(Chrislam)의 릭워렌,하나님(God)과 알라(Allah)가 같은 신이라고 -- 이슬람 사원(모스크)과 손잡다.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6PzL/322

 

 

 

2●[카툰(만화)]-열린지옥 시리즈 - 열린 지옥2 [열정의 표절메이커와 크리슬람, etc]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6PzL/321

 

 

3●[동영상]CTS기독교TV "순교의 피로 물든 성령의 역사 - 정바울 목사[순복음성서교회]"●[내가 매일 기쁘게]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6PzL/247

 

 

 

4●오정현,오정호목사 형제와 송태근목사를 중심으로 한 일부 기독단체들의 견고한 카르텔 - 이들이 한국 교계를 접수했나??

 

http://cafe.daum.net/fgbc/R8lJ/44

 

 

 

5●오정호 목사(오정현목사의 동생:[새로남교회]의 목사 )가 추진하는 대안학교에 관한기사

 

http://cafe.daum.net/fgbc/R8lJ/42

 

 

6●충격!! A교회 B목사, 성경적 근본주의 Q목사를 폄하하기위하여, 이단이라고 조작하며 거짓말 퍼트려..! - 정작 B목사는 이단성 여부를 의심받는 것으로 나타나

 

http://cafe.daum.net/fgbc/R8lJ/45

 

 

 

7●[법률지식] 오정현 목사의 논문표절문제 /그리고 법정에서말하는 논문표절→[5년 이하 징역형 또는 5천만원 벌금형]

 

http://cafe.daum.net/fgbc/R8lJ/27

 

 

 

8●[트리뷴 카툰] 만화 - Agape Global-Paz Disciple Tower 를 건축하며

 

http://cafe.daum.net/fgbc/R8lJ/43

 

 

 

9●【 사망의교회/에로스(?)교회 건축】 "바벨탑교회 건축과 [황금송아지]우상 숭배 & 우리의 이름을 내고.." - 배도하는 바벨탑교회들의 특징

 

http://cafe.daum.net/fgbc/R8lJ/39

 

 

10●이단 릭 워렌[크리슬람], 2013년 북미이슬람교연합회 강사로 활약 - ISNA[북미이슬람교연합회] 강사로서, ISNA 사이트에 대대적으로 소개

 

http://cafe.daum.net/fgbc/6PzL/323

 

 

 

11●이단 WCC의 실체를 밝히다! - 일부다처제 주장 및 촉구, 동성애 성직자 지지, 범신론적 종교혼합주의를 추구하는 WCC

 

http://cafe.daum.net/fgbc/6PzL/319

 

 

 

 

 

 

【한국기독교부패방지위원회】

 

 ===========================

 

 

■한국사회와 공공의 유익을위해 아래 글들을 소개합니다

 

아래에 링크된 주소를 클릭하여 반드시 상세하게 글을 읽고

 

→어떤 교회들이

바벨탑교회인지를 분별하도록

진지하게 생각하기를 바랍니다

 

 

링크된 주소를 반드시  클릭하여 읽읍시다!!

 

 

사랑의 교회의 건축논란과 진실을 추구하며!

 

 

♠↓반드시클릭↓

http://cafe.daum.net/fgbc/R8lJ/19

 

 

 

[문어발확:장대형교회]사랑의교회→지역교회 고사시키나?


http://cafe.daum.net/fgbc/R8lJ/10

 

 

 

☆경악!사랑의교회건축【검은커넥션】6억로비 007가방설←일요신문 폭로


http://cafe.daum.net/fgbc/6PzL/287

 

바벨탑교회or온누리교회&사랑의교회건축
http://cafe.daum.net/fgbc/6PzL/311

 

♠사랑의교회 기공예배 축사했던 목사들의 특징과 정체
http://cafe.daum.net/fgbc/O7SX/24

 

 

★사단의 무서운 음모를 현실화시키는【신복음주의】《이머징처치 운동》-신복음주의[2]
http://cafe.daum.net/fgbc/6PzL/187

 

 

♠전병욱, 오정현에게 부러움과 경쟁심과 ..복음주의 4인방...[나는 회개한다.] - 이승장 목사 (학원복음화협의회 前상임대표)

http://cafe.daum.net/fgbc/R8lJ/24

 

★두 영적 지도자(?) 이DW목사 홍JK목사의 은폐행위
http://cafe.daum.net/fgbc/R8lJ/17

 

 

[권력암투]서초구청에 ★한편 사랑의교회 신축공사 들어갈 비용은
 http://cafe.daum.net/fgbc/R8lJ/13

 

 

【사랑의교회】 건축허가의 진실- KBS뉴스(뉴스파일)
 http://cafe.daum.net/fgbc/6PzL/314

 

하베스트샬롬교회 박호종목사의 <Awakening New Korea>
 http://cafe.daum.net/fgbc/6PzL/209

 

 

참된 회개와 성결, 정직과 감사,기도와 복음화운동 합시다

 

【†한국기독교개혁갱신협의회】

 

 

 

※한국사회와 공공의 유익을 위해 아래 아티클을 소개합니다

 

몰트만을 경계하시길 바랍니다

 

 

 

 

In Praise of Hierarchy -
a response to Jürgen Moltmann(몰트만)

by Peter Carnley
Archbishop of Perth and Primate of Australia

 

 

 

 

 

 

 

 

 

 

 

 

 

 

" The kind of monarchianism Moltmann has in mind thus involves the heresy of, in one way or another, denying Trinitarian belief as in these classical ancient deviations from Christian orthodoxy.

 

 

In this age of Australian republicanism a significant number of people share a natural tendency to be suspicious of hierarchy and monarchy. This is the case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structures of the State, but it swirls around in the intellectual atmosphere and raises questions about the organisational structures of the Church as well. In the future we may expect to experience increasing disenchantment with such arrangements, particularly in response to the democratic and egalitarian sensibilities of the modern world. There is today a sustained and influential theological critique applied to notions of hierarchy and monarchy in both State and Church. Both from the reformed wing of the Christian Church, led by very influential and compelling theologians such as Jürgen Moltmann, and from the ranks of progressive Roman Catholic thinkers. Most notable amongst the latter is an increasingly vocal band of very capable feminist theologians, who are determined to put down what they perceive to be the repressive authoritarianism of patriarchy.


I have in mind such spirited writers as Elisabeth Schussler Fiorenza, for example, and Sandra Schneiders, who are very forthright about hierarchical structures being alien to the Gospel. As an example of the vehemence of this particular form of the contemporary critique, one of the most impressive feminist writers of the current theological scene, Catherine LaCugna, roundly declares that "any theological justification for a hierarchy among persons…vitiates the truth of our salvation through Christ."1


This theological challenge must be addressed and a response made to it by those who belong to hierarchically organised Churches. Just as surely we must grapple with strategies to defend ourselves in the face of the natural and culturally conditioned suspicion of hierarchy that is so much a part of the social environment. I believe this poses a major challenge for contemporary Anglicanism if we are to face the future with any degree of self-confidence about our inherited structures of ecclesial authority.

 

 In The Trinity and the Kingdom2 Jürgen Moltmann excludes both the possibility of the monarchical episcopate and the ranking of primacy amongst bishops in an episcopally ordered Church from his ecclesiology. It is clear that he views both developments as Christian aberrations. In so far as he is critical of the notion of primacy, he particularly has in mind the papal sovereignty of the modern Vatican, but his argument could apply equally well to primacy in the various autonomous Churches of the Anglican Communion3.

 

By contrast with the debates of the Reformation about Church order, where the appeal was primarily to the historical norms of the early church, the modern debate about equality of status versus hierarchy in ministry is conducted on dogmatic grounds. Moltmann argues that the hierarchical irregularities he condemns arise out of an insufficiently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God. In other words, they flow from a fundamental, but mistaken commitment to a 'Christian monotheism', which concentrates attention on the unity of one God as the almighty ruler of all. This position has lost sight of an idea of divine unity of a different kind - the unity found amongst the differentiated but equal Persons of the Trinity. To Moltmann's mind, it is the absolute monarchy of monotheism that "provides the justification for earthly domination - religious, moral, patriarchal or political domination - and makes it a hierarchy, a 'holy rule'.4 "As long as the unity of the triune God is understood monadically*… a religious legitimation of political sovereignty continues to exist. It is only whe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vanquishes the monotheistic notion of the great universal monarch in heaven… that earthly rulers, dictators and tyrants cease to find any justifying religious archetypes any more."5


Moltmann thus speaks of monotheistic monarchianism as "an uncommonly seductive religious-political ideology"6 which the early Church was only able to overcome through the doctrine of the Trinity. Moltmann works with a very negative and highly stereotypical view of the single ruler, who is characterised, whether in Church or State, chiefly in terms of 'domination'. Indeed, "the idea of the almighty ruler of the universe everywhere requires abject servitude", he says, "because it points to complete dependency in all spheres of life."7


The monarchical episcopate and the idea of primacy within a college of bishops thus tend to be corralled with 'political dictatorship' and 'the terror of naked force' which keep people in abject servitude and dependency.8

 

By appealing to the doctrine of the Trinity, Moltmann believes he is able to overcome the notion of a "universal monarchy of one God" which is the root of what he regards as "political and clerical monotheism" in State and Church respectively. It is just not possible, Moltmann says, "to form the figure of the omnipotent, universal monarch, who is reflected in earthly rulers, out of the unity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Rather, in the sphere of the State the unity of the equal Persons of the Trinity will be reflected in a spontaneously harmonious social consensus. Likewise, if the Church is to be "a community free of dominion", it follows that "the presbyteral and synodal church order, and the leadership based on brotherly advice, are the forms of organisation that best correspond to the doctrine of the social Trinity".9


The monarchical episcopate in a local Church or diocese, and worse, the primacy of one senior bishop amongst diocesan bishops in a national or regional Church, not to mention the universalist claims to immediate jurisdiction of an absolutist papacy, all fail to reflect the essential reciprocity of distinct Persons of equal status and divinity in the unity of the Trinity.

In terms of theological method, Moltmann acknowledges that it is difficult to track the exact nature of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and political ideas.10


Whether economic and political realities reflect and reproduce the superstructure of religion, or whether religious and metaphysical reality is constructed analogously with the economic and political world is not easy to determine. Almost certainly, a two-way reciprocal influence and conditioning is more likely. In the course of his argument it becomes obvious that Moltmann's tendency is to emphasise the conditioning of the political and earthly by fundamental religious and heavenly ideas and doctrines, rather than vice versa. In other words, he begins with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God, and speaks derivatively of the nature of the Church. For him ecclesiology is a sub-category of Trinitarian theology. This quasi-platonic approach to an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s grounded in Scripture and the patristic tradition. Thus, for example, in John 17 Christ prays that his disciples may all be one, "as I and the Father are one" and that they may be in the Father and the Son as "you, Father, are in me and I in you".


This means that the newly created human communion in Christ is grounded in the communion of God. As I John puts it, our koinonia** is not just with one another; "our koinonia is with the Father and his Son Jesus Christ" (1 John 1:3, 6-7). As a consequence Cyprian*** could say that "the Church is the people that draws its unity from the unity of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11


It is not just that the Church 'reflects' something of the divine in its own structures. It is much more a matter of participation by baptism in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t flows from the divine - the Church being a creation of divine grace. The Gospel is an invitation to have to do with God, and baptism into Christ is the means of incorporation into the divine life. As 2 Peter 1:4 puts it: in the Church "we are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For Moltmann, the doctrine of the Trinitarian nature of God reminds us that in God there is neither hierarchy nor inequality, neither division nor competition, but only unity in love amongst a diversity of distinguishable persons of equal status.


And the Church should express the same reality in its life. On the basis of this kind of ecclesiological thrust, Moltmann then goes on to argue that the unity of Being amongst the diverse persons of the Trinity is a quite different kind of unity from the absolute monarchy of the one God of 'monarchical monotheism'. Crucially, that it leads to different ecclesiolog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ose that flow from a rigidly unitarian monotheism. The 'monarchical monotheism' to which Moltmann takes exception is said to be one of the ancient heresies that constitute "permanent dangers to Christian theology"12, for it leads to a form of political and ecclesial totalitarianism.

 

Moltmann's argument involves a specific kind monarchianism (the rule of a single person). It is the kind of monarchianism that, in the ancient Church, denied distinctions within the inner life of God. Such a monarchianism was a feature of theology, for example, in the third century at the height of the popularity of modalistic theories of the kind promoted by Sabellius****, when he reduced the distinctions between Father, Son and Spirit to different and successive operations of the one God. The same initial commitment to the absolute divine sovereignty of one God, without any internal differentiation of persons, was also a feature of the subordinationism of Arius***** early in the next century. The kind of monarchianism Moltmann has in mind thus involves the heresy of, in one way or another, denying Trinitarian belief as in these classical ancient deviations from Christian orthodoxy. While we may accept this point, it is of some concern that at Moltmann's hands Ignatius of Antioch****** also tends to get tarred with the same brush! Indeed, Ignatius is explicitly identified as one who worked with the kind of defective Christian monotheism that Moltmann particularly has in mind.13


Ignatius is also said to provide a clear illustration of the ensuing ecclesiological error that Moltmann wishes to condemn. At a number of points Ignatius draws an overt analogy between belief in the sovereignty of the one God and the monarchy of the bishop "presiding in the place of God".14


Monarchianism in the ancient Church accentuated belief in God as an absolute monad, without distinctions within the unity. This is the specific kind of monarchical belief that Moltmann contends gets reflected in dictatorial and domineering political leadership in the State, and in an autocratic and authoritarian episcopal hierarchy of bishops in the Church. But there is another kind of monarchianism, which is entirely free of the taint of ancient heresy. This is not only compatible with Trinitarian belief but is an essential element within orthodox Trinitarianism.

 

This is the idea of the monarchy, not of one God with respect to the created order, but the monarchy of the Father with respect to the other two Persons within the Divine Unity. Even Moltmann does not take exception to this kind of monarchianism. For example, in his criticism of the Western innovation of the double 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from both the Father and the Son (or Filioque*******), Moltmann unequivocally affirms the sovereignty of the Father: "The uniqueness of the procession of the Spirit from the Father (and therefore the 'sole causality' of the Father in respect of the Spirit)", he says, "has in fact never been disputed by theologians of the Western Church".15


"It has never been denied in the West that the Son (John 16:27) and the Holy Spirit (John 15:26) proceed from the Father, each in his own way; and that therefore the Father is - in different ways - the 'origin' of them both…"16
This means that the eternal priority, or the 'divine causality,' of the Father with respect to both the Son and the Spirit is rightly maintained. Moltmann concludes that the "Filioque was never directed against the 'monarchy' of the Father…". The Son does the Father's will rather than vice versa. Despite Moltmann's uncompromising critique of 'monotheistic monarchianism', there is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tself an alternative expression‍‍ of monarchy, which he judges acceptable.


This species of divine causation and monarchy does not suggest any kind of subordination of the Son to the Father. The Father and the Son, and indeed, the Holy Spirit, are equal in divinity, and of equal status and dignity. But the Father enjoys a certain priority as the 'origin' or 'sole cause' of the other two Persons.
"The Father, being himself without origin, was always the first Person in the Trinity" (my italics). This notion of a legitimate monarchy of the Father within orthodox belief in a Trinity of diverse and distinguishable but equally divine Persons, leads to quite significantly different ecclesiological conclusions from those arrived at by Moltmann in his critique of 'monotheistic monarchianism'. The priority of the Father as the eternal 'source' and 'origin' of the other two Persons of equal dignity
and status, surely finds its closest ecclesiological expression‍‍ in the principle of primus inter pares, or 'first amongst equals'.


This principle in turn allows us to articulate an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the Bishop in the Church and of a Primate amongst other bishops that is free of the falsely negative stereotyping engaged in by Moltmann. The Bishop is 'first amongst equals' in the Church in the sense that he is not separate from the Church, for he is shepherd and overseer of the Church and minister of order in the Church. He is one of the baptised people of God. Also, he is not necessarily present in the Church in some authoritarian and offensively domineering way, but in a way that respects the equal dignity of every other baptised member. This particular ministry of service of the bishop as a member of the Church, rather than as a domineering and dictatorial ruler who is somehow outside of it and over it, can be appropriately described as a ministry of order.


As Hooker so vehemently pointed out, it is the bishop who ordains17 and who is thus the 'cause' of ordered and authorised ministry - the one from whom ministry 'proceeds'. As the 'origin' and 'cause' of the ordered ministry of others, the Bishop in the Church is the human source and sign of the unity of the Church. Those baptised either by him or by the presbyters in ministry authorised by him, become members of a eucharistic community that is in turn presided over by him. All are in communion with one another by virtue of their shared communion with him. In this way he performs a specific and essential function of leadership and pastoral care in the life of the Church as 'first amongst equals'.


The concept of 'monarchy' is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unique ministry of the Bishop because, as teacher, the Bishop is the one who must on occasion rule with respect to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in matters both of belief and Christian praxis. The function of the Bishop with respect to the regulation of liturgy and worship, and the ordering of belief for the purpose of the maintenance of the Church in truth, fall within his particular responsibility.18

 

The authority of decision-making and the power to act in this way is a concrete expression‍‍ of the Bishop's monarchy. But it is exercised in humility, with due regard to the equal dignity and human rights of all of the Church's members, and with an appreciation of the need to consult, listen and take advice, rather than operate in the authoritarian and dictatorial manner that Moltmann believes necessarily flows from 'monotheistic monarchianism'.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s a source of fundamental theological principles which may be given ecclesiological expression‍‍. Some useful ideas on the nature of the Bishop's role in the Church come from Basil of Caesarea's exposition of the relational aspect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in terms of the concept of communion (koinonia). The Christian understanding of God as a Trinity of distinct and distinguishable Persons in one Unity of Being was expressed by appeal to the concept of 'communion' by Basil in his treatise On the Holy Spirit (374AD). Though the Trinitarian formula 'three Persons and one substance' was in the air at the time, the Biblical witness led Basil away from the concept of 'substance' to speak of God instead as 'three Persons and one communion'.


Basil thus spoke of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being of one heart and one mind, sharing a common will and a common purpose. Basil spoke of a "coincidence of willing" among the Persons of the Trinity. The Son does the Father's will, but it is not that the Son does the will of the Father begrudgingly, as a subordinate, out of a sense of duty or under some kind of duress; rather, the Father finds his own will freely and lovingly reflected back to himself by the Son, "like an image in a mirror".

 

The ensuing inter-personal communion created by a perfect harmony of wills, and the self-giving love of persons of equal status, is the ground of the unity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If we follow Basil's logic, interpersonal communion is the essence of divinity, and the Communion of Saints is the communion of human believers together (whether living or departed) through their shared entry by baptism into communion with God in Christ. If the relations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form the basis for the eternal perichoresis********, and if this principle of the relationality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may be given ecclesiological expression‍‍, it is possible to think of the mutual interdependence of persons within the Body of Christ as a kind of ecclesial perichoresis.


Moltmann himself says that the "unity of the Christian community is a Trinitarian unity. It corresponds to the indwelling of the Father in the Son, and of the Son in the Father. It participates in the divine Trinity, since the community of believers is not only fellowship with God but in God too." In other words, the various members of the Church are one in the same kind of way that the persons of the Trinity are one.

 

Their ecclesial life together involves a mutual inter-change of gifts within the one harmonious bundle of life. This is clearly a different kind of unity from that characterised by Moltmann as the regrettable political and ecclesial outcome of 'monotheistic monarchianism'. In the context of an ecclesiology of communion, the reciprocal roles of the Bishop in the Church, and those whom he ordains, together with the contribution of the laity, working in harmony with the ordained, constitute an interdependent network.


Between the Bishop and those whom he ordains, for example, there is a shared ministry which is described as "mine and thine" at the inductions and commissionings of parish clergy. The total ministry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ministering people (instead of people gathered around a single minister) expresses the same ecclesiological mutuality and interdependence. This unity can be characterised as a unity of heart and mind or as a "coincidence of willing" in cooperative effort. So, the teaching ministry of the Bishop is received by the laity. The Bishop receives advice from theologians who are priests, or qualified and insightful members of the laity.

 

The Bishop's leadership and pastoral ministry as shepherd and teacher and guardian of faith in this way constitutes a distinguishable function as 'first amongst equals' in the exercise of a diversity of gifts of the Spirit. The ecclesiological application of these Trinitarian principles thus takes us a long way from Moltmann's stereotyping of the Bishop as a domineering oriental potentate. Within Anglicanism a Metropolitan or Primate presides over gatherings of colleagues in the episcopate as 'first amongst equals' in a province, or autonomous regional or national Church. The universal primacy of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in relation to the bishops of dioceses of the constitutionally autonomous, but not independent, churches of the Anglican Communion operates according to the same fundamental principle.19


Once again, this is first established within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s of the Trinity, where the First Person of the Trinity enjoys a form of monarchy with respect to the other two Persons as their origin and cause, but without overwhelming them to the point where their individual identity disappears from view. It is hard to see that Moltmann can argue as he does concerning the nature of the inner relations of the divine life, and the monarchy of the Father with respect to the other two Persons, without going on to allow that in a Trinitarian ecclesiology
some ministers in the Church may after all exercise a kind of rule in relation to other members of the Body. Indeed, in a throw away line, Moltmann concludes his stinging critique of the 'clerical monarchism' of episcopal order, by saying "Of course most churches will in actual fact have mixed forms, with episcopal and synodical elements.'20


It may well actually be the case that in some churches, not least the churches of the Anglican Communion, a balance has very successfully been struck between episcopal leadership and synodical government! This alerts us at once to the fallacy of Moltmann's over-simplified and stereotypical portrayal of a domineering and utterly authoritarian episcopate. While Moltmann admits the idea of the monarchy of the Father in relation to the other two Persons i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he will have difficulty in arguing against the idea of the episcopal leadership of the 'Father in God' in the Church.

 

 In the decision-making of the bishop-in-synod, where distinctions between the roles of Bishop, clergy and laity are preserved in the Houses of Bishop, Clergy, and People, we may have a very agreeable approximation in this world to the ideal relations of the distinct persons of equal status of the Trinity. In our synods any House has the right of veto over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sensus of "a coincidence of willing" prevails, the ensuing unity of heart and mind holds before the entire world the ideal of the resolution of tension between the one and the many, but without a totalitarian elimination of the distinct and free contributions of individual persons.

 

 

1 Catherine Mowry LaCugna, God for Us: The Trinity and Christian Life, San Francisco: Harper, 1991, p. 400.
2 Translated by Margaret Kohl with new Preface, San Francisco: Harper, 1991 (originally published as Trinitat und Reich Gottes, Munich: Kaiser Verlag, 1980, Ch. VI. Moltmann draws upon the classic treatment of the political ramifications of monotheistic belief by Erik Peterson in Der Monotheismus als politisches Problem, Leipzig: Jakob Hegner, 1935 and Yves Congar, "La monotheisme politique et la Dieu Trinite", Nouvelle Revue Theologique, (1981), pp.-3-17. See also T. D. Parker,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Some Theses", Journal of Religion, Vol 60, 1980, pp.165-84 and A. Schindler, ed. Monotheismus als politisches Problem? Erik Peterson und die Kritik der politischen Theologie, Gutersloh: Gerd Mohn, 1978.
3 Ibid., p. 200
4 Ibid., p. 192
5 Ibid., p. 197
6 Ibid., p. 131
7 Ibid., p. 192
8 Ibid., p. 197
9 Ibid., p. 202
10 Ibid., pp. 192-3
11 De orat. Dom. x. 3, Patrologia Latina 4. 553.
12 Ibid., pp. 129-30.
13 Ibid., p. 200
14 To the Magnesians VI:1; to the Trallians III:1, where the bishop is explicitly said to be 'a type of the Father'.
15 Ibid., p. 182
16 Ibid.
17 Richard Hooker, Of the Law of Ecclesiastical Polity, VII ii 3
18 Cf. the Ordinal, particularly the promises made by a bishop-elect in the examination prior to consecration, 'to banish and drive away all erroneous and strange doctrine contrary to God's Word'
19 See Gillian Evans exposition of the Anglican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primacy of the Archbishop of Canterbury in the Anglican Communion and of a possible universal primacy of Rome in a reunited Christendom in "The An glican Doctrine of Primacy', Anglican Theological Review, Vol. LXXII, No. 4, 1990, pp. 363-78.
20 ibid., p. 202.

*
monadically = by this Moltmann means a single self-contained unit.
** koinonia = fellowship, communion
***Cyprian = early Church Father, (d 258AD)
****Sabellius (3rd Century AD) taught that Father, Son and Holy Spirit were three modes of operation of the one God, rather than three distinct persons.
*****Arius: condemned for heresy of subordinating the Son to the Father.
******
Ignatius of Antioch c35 - c107AD
*******
Filioque = the statement that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Added in the Church of the West to the Nicene Creed.
******** Perichoresis = dynamic inter-relatedness and interdependence

 

 

 

 

[스크랩]
출처 : 선지자와 예언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