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학

[스크랩] 왜 조직화된 신앙을 믿어야 하는가?

수호천사1 2012. 10. 14. 17:26

왜 조직화된 신앙을 믿어야 하는가?

 


사전은 종교를 정의하길, “하나님에 대한 믿음, 혹은 숭배되는 신들에 대한 믿음, 대개 행위와 의식으로 표현됨, 모든 종류의 믿음, 예배 체계, 종종 윤리적 성격이 관여됨.” 이 정의에 따르면 성경은 조직화된 종교를 소개하고 있으며, 많은 경우에 있어서 조직화된 종교의 목적과 그것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 하나님은 기뻐하시지 않습니다. 아래에 조직화된 종교가 묘사된 일부 예들을 열거하였습니다.

창세기 11:1-9: 아마도 첫 조직화된 종교에 대한 예일 것입니다. 노아의 후속들은 탑을 높이 쌓으면 구원 받을 것이라는 믿음 체계를 가지고 탑 건축을 위해 사람들을 조직하였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협동이 자신들의 하나님과의 관계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들 가운데 개입하여 그들의 언어를 혼란케 하시고는, 그런 그들의 믿음을 깨셨습니다.

출애굽기 6장과 그 이하: 하나님은 아브람 (아브라함)에게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의 자손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으시겠다는 약속을 주셨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조직된 관계는 출애굽 초기에서부터 볼 수 있으며 그리고 그 후 이스라엘의 역사를 거칩니다. 십계명, 장막, 제사제도 등은 모두 하나님에 의해 조직된 것이고,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켜져 나갔습니다. 신약성경을 더 연구하다 보면 이 종교는 결국 사람들을 그리스도로 이끌었지만 (갈라디아서 3장; 로마서 7장), 많은 사람들은 이를 잘못 이해하였고, 하나님을 예배하기 보다 그 예배를 구성하는 요소에 메이게 되었습니다.

사사기와 그 이하: 이스라엘 사람들은 조직화된 종교의 혼란으로 많은 혼란을 겪었습니다. 예를 들어 바알 (사사기 6장; 열왕기상 18장); 다군 (사무엘상 5장); 몰렉 (열왕기상 23:10). 하나님은 이런 종교들을 통하여 그것들을 능가하는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셨습니다.

복음서: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은 그리스도가 살아계셨을 당시 조직화된 하나의 종교체계였습니다. 예수님은 그들이 잘못된 가르침과 위선적인 생활양식을 가지고 있음을 계속해서 지적하셨습니다. 그런 종교체계에서 벗어나게 되는 사람들이 생겼는데, 바울이 그 중에 하나였습니다.

바울 서신:
복음을 행위 구원과 혼합시키려는 조직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기독교 신자들의 믿음을 자신들의 믿음으로 변경하도록 많은 압력을 넣었습니다. 갈라디아서와 골로새서는 이것에 대해 경고하고 있습니다.

계시록:
마지막 날에 조직된 믿음 체계는 모든 적그리스도적인 종교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미칠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조직된 믿음은 하나님의 뜻에서 벗어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그러나 성경이 말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의 한 계획인 기독교인들의 조직을 말합니다. 그들을 교회라고 불렀습니다.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은 교회는 조직되어져야 하고 상호보완 될 수 있는 길을 제공합니다. 조직은 보호, 생산성 그리고 전도로 이끕니다 (사도행전 2:41-47). 이런 경우에서는 이를 조직이라기 보다는 “조직화된 관계”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종교는 인간이 하나님과 교제하기 위한 시도입니다. 기독교 믿음은 우리를 위한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하신 일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입니다.

하나님께 이르기 위한 계획은 없습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먼저 다가오셨기 때문입니다-로마서 5:8). 교만이란 있을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을 은혜로 받았기 때문입니다-에베소서 2:8-9). 리더쉽에 대해 논쟁 또한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스도가 머리 되시기 때문입니다- 골로새서 1:18). 편견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되기 때문입니다- 갈라디아서 3:28). 조직적인 모습을 갖추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종교의 규율과 의식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문제입니다.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