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학

[스크랩] 자비량 선교에 참여하라 (한철호)

수호천사1 2012. 7. 23. 12:42

자비량 선교에 참여하라

한철호 선교사 (선교한국 상임총무)


자비량 선교라는 개념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 개념의 성경적 출발은 바울에게서부터 라고 볼 수 있다.  바울은 선교 활동을 하면서 장막 깁는 직업을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그는 선교하면서 필요한 자신의 의식주 문제를 외부의 도움을 받지 않은 것으로 본다.  물론 바울도 안디옥 교회나 빌립보 교회의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  따라서 바울이 선교하면서 자신의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전적으로 받지 않았다고는 볼 수 없다.

자비량 선교라는 말은 흔히들 전문인 선교라는 말과 연관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즉 전문적인 기술이나 직업 영역을 가지고 선교를 함으로 재정적 자립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비량 전문인 선교’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전문인 선교라고 해서 반드시 자비량이라고만 말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자비량 선교라고 해서 반드시 전문인 선교라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전문적인 기술이나 직업을 가진 선교사라고 하더라도 선교사역을 위해 본국의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선교지에 가는 많은 경우는 단지 재정적 자립을 위해서가 아니라 선교사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은 지역에 들어가기 위한 수단 혹은 방편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선교지에서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다면 직장에서 일하는 것에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얼마나 실제적인 선교를 할 수 있을 것인가 등에 대한 다양한 의문들이 있다. 선교지에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고 간 경우 일과 사역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면 의료선교사로 나간 사람들에게는 쉴새없이 밀려오는 환자들에게 모든 시간을 들여서 그들을 치료해 주는 것에 집중 할 것인가 아니면 전도하기 위해 일정한 시간을 떼어놓을 것인가, 아니면 이 둘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의 갈등이 있다.

비즈니스선교를 할 때도 비즈니스와 선교를 동시에 할 것인가(business and mission), 비즈니스 자체가 선교인가(business as mission), 선교를 위한 수단으로서 비즈니스인가(business for mission)등의 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자비량 선교 혹은 전문인 선교는 매우 중요한 선교전략 중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오늘날의 세계화, 지구촌화된 시대에서는 각종 직업을 가지고 많은 사람들이 전 세계를 여행하거나 타국에 가서 일하고 있고, 다국적 기업도 등장하는데 그들 가운데 그리스도인들이 있고 그들이 특별히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나라에서 일할 경우 복음전파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 개념에 있어서 복잡한 부분도 있지만 여전히 선교사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지역에 다양한 직업이나 기술을 가지고 들어가는 일은 매우 중요한 전략이기 때문이다. 많은 선교지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빈곤, 전쟁, 재난 등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경우 이들을 돕기 위한 전문적인 사역자들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전임선교사로 파송 받아 나가지 않았다 할지라도 우리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모든 상황에서 모든 방법을 다 동원해서 선교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자비량 선교에 참여 할 수 있다. 즉 당신이 한 기업의 직원으로 외국에 가서 근무하게 될 때 그 지역이 복음전파가 필요한 지역이라면 당신이 시간을 내어 선교에 참여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전 때문에 일부러 회사에서 남들이 가기를 꺼려하는 국가나 지역이라 할지라도 자청해서 가서 주어진 일을 하면서 시간을 내어 선교사역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젊은이들의 경우 교회의 선교비 지원을 받지 않고 자비로 복음전파가 필요한 지역으로 유학을 가거나 코이카 같은 기관을 통해서 선교지역에 가서 근무하는 것 등을 통해 선교사역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모양으로 선교해야 한다. 본국 교회의 지원을 전적으로 받는 선교사, 본국의 전적인 지원을 받으면서 창의적 접근지역에 들어가기 위한 통로로 전문적인 직업이나 위치를 사용하는 선교사,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교지에서 일하면서 재정을 확보해 가면서 일하는 선교사 등등 다양한 모양으로 선교해야 할 것이다.

실천을 위한 점검


□ 당신이 특정한 직업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을 통해 당신이 성취하길 원하는 최종적인 목적이 무엇인가?

□ 당신의 삶 속에서 일과 사역은 어떤 연관을 가지고 있는가?

□ 당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적이 기술이나 위치를 가지고 선교지로 가게 된다면 당신은 어떤 사역에 참여 할 수 있는가?

출처 : 내 사랑 중국 ♡ MyLoveChina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