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2년 12월, 수십 기로 이루어진 전투기의 엄중한 호위를 받으며 김포공항에 비행기가 도착하였습니다. 비행기에서 내린 인물은 제2차 대전의 전쟁영웅이자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확정된 인물인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1890~1969)였습니다. 그는 선거 기간 중 6·25전쟁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만일 대통령에 당선이 되면 그 즉시 한국을 방문하겠다고 공약을 내세웠고 이를 실천하였던 것이었습니다.
[국군 수도사단을 방문한 아이젠하워]
미국 역사상 대통령이나 대통령 당선자가 미국 본토 밖의 최전선을 시찰한 것이 이번이 사상 최초였을 만큼 그야말로 획기적인 일이었습니다. 제2차 대전 당시 오성장군으로 연합군최고사령관이었던 인물답게 저돌적으로 전선을 누비면서 일선부대를 방문하여 의견을 듣고 현황을 파악하였습니다. 그런 그가 미 제8군 사령관이자 후배인 밴 플리트에게 놀라운 부탁을 하였습니다.
[(좌에서 우) 밴 플리트 제8군사령관, 아이젠하워 대통령 당선자, 클라크 유엔군사령관]
제8군 사령부를 찾아 밴 플리트 사령관으로부터 전선 현황에 대해서 브리핑을 조용히 듣고 있던 아이젠하워는 의례적인 질의와 응답 후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였습니다. “장군, 내 아들 존(John S. D. Eisenhower 1922~)은 지금 어디에 있습니까?” 당시 아이젠하워의 외아들도 6·25전쟁에 참전 중이었습니다. 존 아이젠하워는 둘째 아들이었지만 첫째 아들인 다우드가 어려서 병사하여 외아들과 다름없었습니다.
[제2차 대전 당시 아들 존과 함께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따라서 어쩌면 이 질문은 아버지가 아들의 소식을 궁금해 하는 지극히 사적인 질문이었습니다. 밴 플리트는 “존 소령은 미 제3사단 대대장으로 현재 중부전선의 최전선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라고 의례적인 대답을 하였는데, 다음에 이어진 아이젠하워의 부탁에 순간 경악하였습니다. “사령관, 내 아들을 후방 부대로 빼주시겠습니까?” 이번 전쟁에서 외아들을 잃은 밴 플리트가 듣기에는 몹시 거북한 말이었습니다.
[(좌에서 우로 ) 미 제3사단을 방문한 아이젠하워, 클라크, 밴 플리트]
아이젠하워는 조용히 입을 열었습니다. “장군, 내 아들이 전사한다면 나는 가문의 영예로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런데 포로가 된다면 적들은 대통령의 아들을 놓고 미국과 흥정하려들 것입니다. 이 때문에 만일 국민들이 국가의 자존심문제라 생각하여 ‘대통령의 아들을 구하라’고 나온다면 차후 작전에 애를 먹을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단지 대통령 아들이라는 이유 때문에 차후 작전에 심대한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최소한의 예방조치만 요청하는 것입니다.”
[제3사단을 방문하여 아들 존 소령과 면담한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아이젠하워의 말을 들은 밴 플리트는 환한 미소를 지으며 크게 답하였습니다. “각하! 즉시 조치하겠습니다.” 존 아이젠하워는 후방의 정보처로 옮겨 근무하게 되었고 이후 육군 준장을 거쳐 주벨기에 미 대사까지 부임하였습니다.
아이젠하워의 부탁은 차기 군 최고 통수권자인 대통령 당선자라는 지위를 남용한 명령이 아니었으며 군 선배라는 신분을 이용하여 청탁이 아니었습니다. 따라서 아이젠하워는 인사권을 가지고 있는 야전사령관에게 아들의 안위를 걱정하는 아버지가 아닌 차후 작전 차질을 우려한 대통령의 입장으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당당하게 합리적인 부탁을 하였을 뿐이었습니다. 또한 밴 플리트의 화답도 단지 차기 권력자에게 잘 보이려는 보신책이 아니었음을 누구나 다 알고 있었습니다.
[밴 플리트, 이승만 대통령, 아이젠하워]
6·25전쟁 당시 유엔군 최고 지휘관과 그 아들이 동시에 참전하여 피를 흘린 경우는 지금까지 소개한 사례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휴전 당시 유엔군사령관이었던 마크 클라크(Mark W. Clark 1896~1984) 대장과 그 아들 마크 빌 클라크(Mark Bill Clark) 육군대위의 경우인데, 아들 빌은 금화지구전투에서 중대장으로 복무도중 부상을 당하여 전역하게 되었고 결국 그 후유증으로 사망하였습니다.
[휴전 당시 유엔군 사령관이던 클라크 장군의 아들은 참전 후유증으로 사망하였습니다]
6·25전쟁과 미군의 참전을 떼어놓고 이야기하기 힘들지만 이처럼 고위 미군 장성이나 정치인의 자제들이 앞 다투어 전쟁에 참전하였다는 점은 우리를 숙연하게 만드는 대목임에 틀림없습니다. 총 142명의 장성의 아들들이 참전하여 이중 35명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아들이 참전의사를 밝혔을 때 대부분의 부모는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들은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무엇인지를 알고 있었던 것이고 우리가 본받아야 할 모습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 계속 )
'전쟁과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들의 이야기 [ 3 ] (0) | 2010/06/30 |
---|---|
그들의 이야기 [ 2 ] (2) | 2010/06/08 |
그들의 이야기 [ 1 ] (1) | 2010/06/03 |
스스로 강등되었던 싸움닭 (1) | 2010/05/27 |
채명신 장군의 고지 공격법 (0) | 2010/05/25 |
맥아더가 만나 장군 그리고 병사[下] (4) | 2010/04/09 |
1950년 12월 25일, 미 제24사단의 일선 중대장으로 근무하던 샘 워커 ( Sam S. Walker 1925~ ) 대위는 유엔군사령관이었던 맥아더에게 호출 당하여 도쿄의 극동군사령부를 방문하였습니다. 야전의 말단 지휘관인 젊은 워커대위는 맥아더의 집무실에서 거물과 마주하게 되었습니다. 샘이 경례를 하자 담담하면서도 서운한 표정의 맥아더가 무겁게 말문을 열었습니다.
“워커 대위 ! 부친의 전사를 진심으로 애도한다. 훌륭한 군인이었던 월튼 워커(Walton H. Walker 1889~1950) 대장(사후 추서) 의 죽음은 우리 미국에게 커다란 손실이다. 나는 귀관에게 워커 대장의 유해를 알링턴 국립묘지까지 운구하도록 지시한다.”
[전 미 제8군 사령관 월튼 워커 대장의 묘]
샘 워커는 6·25전쟁 초기에 미 제8군 사령관으로 낙동강방어전과 북진을 이끌던 월튼 워커 중장의 외아들이었습니다. 이들 부자는 함께 6·25전쟁에 참전 중이었는데, 이틀 전 아버지가 전선을 시찰하던 도중 불의의 교통사고로 순직을 하였습니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맥아더는 아들 샘으로 하여금 아버지 월튼의 시신을 본국으로 운구하도록 조치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원수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은 샘 워커대위는 다음과 같은 이유를 대며 반대했습니다.
[방한한 콜린스 미 합참의장에게 아들 샘 워커를 소개하는 월튼 워커
그는 자신처럼 군인이 된 아들을 상당히 자랑스럽게 생각하였습니다]
“각하! 저는 일선의 보병 중대장이고 지금 저희 부대는 후퇴중입니다. 후퇴작전이 얼마나 어려운지 각하가 오히려 더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이런 시점에 중대장 교체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아버님 시신의 운구는 영현담당자들이 잘 해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지금당장 전선으로 돌아가서 부대를 지휘하겠습니다.”
[당시는 1.4후퇴 직전이라 상당히 불리한 상황이었습니다]
당시는 1.4후퇴 직전으로 전황이 몹시 어려웠던 상황이었고 전투에서 공을 세워 ‘은성무공훈장’까지 수여 받았을 만큼 저돌적이었던 샘에게 후방 전보는 결코 용납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맥아더는 “이것은 명령이다.”라고 간단히 말하고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방을 나가버렸습니다.
맥아더는 그의 충실한 수하였던 월튼 워커의 죽음을 몹시 애통해하였습니다. 때문에 혹시나 최전선에서 사상을 당할 수도 있던 그의 외아들을 안전한 본국으로 전보시킴과 동시에 유해를 직접 운구하도록 조치하였던 것이었습니다. 어쩌면 이것은 유엔군사령관이라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자가 이들 부자에게 베풀 수 있었던 최고의 배려였습니다.
[맥아더는 단호하게 명령을 내렸지만 사실 그것은 배려였습니다]
(평양에서 맥아더를 영접하는 월튼 워커)
하지만 공과 사를 분명히 구분하던 샘은 전선에 계속 남기를 자원하였습니다. 아마도 이런 성격은 강골이었던 그의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처럼 샘 워커는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워싱턴의 육군성에 근무하게 되었지만 이후 베트남전쟁 등을 거치며 1977년에 미 육군 최연소 대장에 올랐습니다. 이것은 아직까지 미군 역사상 부자가 대장에 오른 두 차례 밖에 없는 희귀한 예입니다.
[미 육군대장 당시의 샘 워커]
이처럼 6.25전쟁에서 워커부자는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의 전형을 몸소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거대했던 6.25전쟁에서 워커부자처럼 공과 사를 구별하며 맡은바 책임을 다하였던 다른 예는 의외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월튼 워커와 리지웨이에 이어 미 제8군 사령관이 되었던 인물은 밴 플리트(James A. Van Fleet 1892~1992)였는데, 당시에 그의 외아들인 밴 플리트 2세(James Van Fleet Jr.)는 미 공군의 중위로 역시 6.25전쟁에 참전 중이었습니다.
[밴 플리트 미 제8군 사령관]
1952년 4월 2일, 밴 플리트 2세는 B-26 중형 폭격기를 조종하여 평양인근의 순천지역을 폭격하기 위해 출격했다가 실종되었습니다. 즉시 수색작전이 시작되었는데 사안이 사안인지라 미 제5공군 사령관이었던 에베레스트 장군이 직접 밴 플리트에게 사고와 수색내용을 보고하였습니다. 그런데 밴 플리트는 묵묵히 보고를 듣고 있다가 담담하게 다음과 같이 지시하였습니다.
“밴 플프리트 2세 중위에 대한 수색작업을 즉시 중단하라. 적지에서의 수색작전은 너무 위험하고 무모하다.”
[실종된 벤 플리트 2세]
아버지가 외아들의 구출작전을 너무 무모하다고 중지시킨 것이었습니다. 혼자 남아 눈물을 흘렸을지 모르겠지만 그는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하여 군의 최고 통수권자로써 단호한 명령을 내렸던 것이었습니다. 보기 힘든 그리고 상당히 어렵지만 강한 지도자의 모습을 밴 플리트 장군은 이처럼 보여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