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교회에 꼭 필요한 여덟 가지 질적 특성
1. 사역자를 세우는 지도력
성장하는 교회와 성장하지 못하는 교회의 차이점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은 사역자를 세우는 일이다.
성장하는 교회의 지도자는 사역을 위해 다른 그리스도인들에게 기회와 권한을 권한을 부여하는 일에 중점을 둔다. 지도자는 평신도들을 자신이 설정해 놓은 목표나 자신의 비젼을 이루는데 필요한 조력자 정도로만 여기지는 않는다. 오히려 피라밋형의 권위 구조를 거구로 뒤집어서 리더가 교인들을 섬기며 그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부여해 주신 영적 잠재력을 개발하여 쓸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런 목회자는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자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을 준비시키고, 격려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시키는데 중점을 둔다.
2. 은사 중심적 사역
은사 중심적 접근에는 하나님께서 주권적으로 어떤 그리스도인이 어떤 사역을 감당할 것인가를 스스로 정하였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교회의 지도자들의 역할은 교인들이 자신의 은사가 무엇인지를 발견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은사를 따라 섬길 때, 인간의 힘으로 하는 부분은 줄어드는 대신 성령의 능력 안에서 이뤄지는 일은 더 많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보통 사람들도 은사를 따라 사역하게 되면 놀랍고 대단한 일을 해 낼 수 있게 된다.
3. 열정적 영성
교회 성도들이 불붙어 있는가?
성도들이 기쁨과 열정으로 헌신과 믿음의 삶을 살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교회 성도가 기도하는데 얼마만큼의 시간(양)을 보내느냐 하는 것은 그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에 미미한 영향 밖에는 주지 못한다. 반면 그 기도가 영감있는 경험이었나 하는 것은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개인적으로 성경을 보는 것과 개인의 영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의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
4. 기능적 조직
지도자는 단지 어떤 조직을 이끌 뿐 아니라 또 다른 지도자들을 양성해야 한다. 이와같은 견해를 수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교회가 스스로 움직이는 자생 조직이 이뤄질 때까지 계속해서 교회 조직을 평가 개선해 나가게 된다. 이 기준을 도달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들 (예를들면, 일할 수 있도록 여건 조성이 안된 체제, 동기 부여가 안 되는 재정적 관행등)은 없애든지, 아니면 바꿔야 한다.
이와같은 계속적이고도 조직적인 자동갱신의 과정을 통해 전통주의적 타성들 중 많은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5. 영감있는 예배
예배가 신자 중심으로 드려지거나, 불신자 중심으로 드려질 수 있고, 전통적 스타일로나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드려질 수도 있고 사용되어지는 언어가 거룩하거나 세상적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교회 성장과 무관한 것이다. 교회 성장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인으로 밝혀진 다른 기준이 있다면 그것은 예배가 과연 성도들에게 영감 넘치는 예배인가? 라는 점이다.
영감이라는 말은 인스피라티오(inspiratio)라는 단어의 뜻에는 하나님의 영으로부터 오는 영감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단지 관념적인 성령의 임재가 아니라 성령이 진정으로 역사할 때에 예배의 분위기는 물론 예배 절차에 구체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래서 진짜 영감있는 예배에 참석하는 사람들은 교회 가는 것이 즐겁다고 말한다.
6. 전인적 소그룹
소그룹의 계속적인 번식은 교회 성장의 원리가 된다.
소그룹이 단지 성경 구절을 암송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구절의 메세지를 매일의 삶에 적용시키는 전인적 소그룹이 되어야 한다. 전인적 소그룹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영적 은사들을 가지고 다른 사람 섬기기를 배우는 자연스러운 장소가 되어야 한다.
소그룹의 계획적인 번식을 위해 필요한 것은 일상적인 소그룹 활동의 부산물로 생기는 리더들이 계속 세워지고 개발되는 일이다. 제자도의 의미는 전인적 소그룹이라는 배경 안에서 실제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제자도란 삶을 나누는 것이지 추상적 개념을 반복적으로 배워 나가는 것이 아니다.
7. 필요 중심적 전도
모든 그리스도인은 지상 명령을 자신에게 주어진 자신에게 주어진 구체적인 은사들을 사용할 책임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진리가 곧 모든 사람이 전도자(은사적 개념으로서의 전도자)가 되어야 한다는 말은 아니지 않는가! 하나님께로부터 복음을 전하는 영적 은사를 부여받은 사람만이 전도자가 될 수 있다.
피터 와그너 박사는 모든 그리스도인 중 10% 이하의 사람들에게만 전도의 은사가 있다고 한다. 전도의 은사가 있는 사람과 하나님께서 다른 분야의 일로 부른 사람을 반드시 구분해야 한다. 모든 그리스도인이 전도자라고 한다면 정말 전도의 은사를 가진 10%의 사람을 찾아낼 필요가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그렇게 되면 전도의 은사가 없는 90%의 사람들에게는 그 부담이 너무 커지는 반면 전도의 은사가 있는 10%의 사람들은 별로 도전을 못 받게 된다.
높은 질적 지수를 갖고 있는 교회의 지도자는 누가 전도의 은사를 갖고 있는지를 알고 그들에게 맞는 사역을 맡긴다.
자신의 은사를 사용해 자기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불신자들을 섬기고 ,그들이 확실한 복음을 들을 수 있도록 도우며, 또한 그들이 가까운 교회와 연결되도록 돕고 격려하는 일은 모든 그리스도인이 해야할 의무다.
교회의 성장의 열쇠는 교회가 전도의 초점을 불신자들이 당면한 문제와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에 맞추는데 있다. 이러한 필요 중심적 접근 방식은 불신자들의 필요를 충족시켜주지 못함으로 불가피하게 불신자들에게 부담과 압력을 느끼게 하는 인위적인 프로그램과는 다르다. 불신자들과 새로운 친분관계를 맺으라고 독려한다고 해서 교회 성장이 저질로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미 갖고 있는 관계를 전도를 위한 기회로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8. 사랑의 관계
교회의 사랑 지수는 얼마인가?
교인들이 교회의 공식적인 모임 외에 얼마나 많은 시간들을 함께 보내고 있는가?
얼마나 자주 서로를 식사에 초대하며, 얼마나 자주 만나 차를 마시는가?
교회는 칭찬하는데 얼마나 너그러운가?
교회 목사는 자기 교회 평신도들의 개인 문제를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교회 안에 얼마나 웃음이 있는가?
사랑 지수? 가 어느 정도입니까?
웃음이 넘치는 교회 생활과 교회의 질적 양적 성장 사이에는 중요한 관련이 있다. 진실하고 실제적인 사랑은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자석과도 같은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입으로 전달하는 것에 그치는 전도 프로그램에 비해 훨씬 효과적이다.
사람들은 우리가 사랑에 대해 얘기하는가를 듣기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사랑이 정말 어떻게 역사 하는지 경험하기를 원한다. 교회가 방법 지향적이 되면 될수록, 사랑이라는 예수님의 명령을 따라 살기는 더 어려워진다. 방법 지향적 사고 방식은 믿는자의 삶을 일차적으로 교리와 도덕 수칙을 지키는 것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 그리스도인들끼리 서로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게 된다.
사랑은 성령의 열매이다.
사랑이 부족한 곳에서는 어디서나 교회가 더 성장할 수 없도록 심각한 방해를 받는다.
'목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이비 기자 vs. 사이비 목사 (진민용) (0) | 2010.07.07 |
---|---|
[스크랩] 전도훈련을 통한 교회성장에 관한 연구 (0) | 2010.06.07 |
[스크랩] 한국선교역사120년 (0) | 2010.06.07 |
[스크랩] 제직훈련 교재 (0) | 2010.06.05 |
[스크랩] [책] 하나님의 대사 - 전 주중대사 김하중 장로의 성령을 따라 사는 삶 (0) | 2010.05.29 |